Tune for this article is 'Cry me a river' by Arthur Hamilton. One of vocalists in our team chose this tune to perform.
<Artist: Arthur Hamilton>
<Reference Information: Artist Biography>
Arthur Hamilton (born Arthur Stern, c. 1926) is an American songwriter, who is best known for writing the song "Cry Me a River", first published in 1953, best known in its recording by Julie London and subsequently recorded numerous times by different artists.
Arthur "Art" Stern was born in Seattle, Washington, the son of songwriter Jack Stern (1896–1985), and moved as an infant with his family to Hollywood, California. He learned piano as a child, and also studied music theory and counterpoint.
He later changed his name to Arthur Hamilton. In 1949 he wrote an early live television musical for KTTV in Los Angeles, California. He also worked for a music publishing company. In 1953, when under contract to Jack Webb, he contributed three songs to the film Pete Kelly's Blues, including "Sing A Rainbow" and "He Needs Me", sung by Peggy Lee. However, Hamilton's third song, "Cry Me a River", sung by Ella Fitzgerald, was dropped from the film, although Ella did go on to record it later in her career. The song's first release and most famous recording was by actress and singer Julie London in 1955. Her performance of the song in the 1956 film The Girl Can't Help It helped to make it a million-selling hit, reaching # 9 in the US Billboard chart and # 22 in the UK. The song, which was also covered by Joe Cocker in 1970, contains the lyric: 'told me love was too plebian, told me you were through with me 'n...'. In 2010, Hamilton attended a recording session at Capitol Records in Los Angeles, where the song was performed by Michael Bublé.
His compositions have been recorded by Dinah Washington, Harry Connick Jr., Barbra Streisand, Johnny Mathis, Ray Charles, Diana Krall, The Dells (whose version of "Sing a Rainbow" was an international hit in 1969), and others. On many occasions, Hamilton worked exclusively as a lyricist; his long list of collaborators includes such composers as Walter Jurmann, Armando Manzanero, Jerry Fielding, Johnny Mandel, Michel Legrand, David Raksin, Robert Ragland, Riz Ortolani, Terry Trotter, Lori Barth, Barry Mann, Dave Grusin, Walter Scharf, Joe Harnell, Leroy Holmes, Harriet Schock, Ron Anthony, and Patrick Williams. Hamilton has also been nominated for an Oscar, two Emmys, and a Golden Globe. He is Member of the Board of Governors of th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Music Branch).
아서 해밀튼이 “Cry Me a River”를 작곡했을 당시 그는 이 곡이 영화 ‘Pete Kelly’s Blues’(1955)에서 엘라 피츠제럴드가 부를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이 곡은 영화 사운드트랙에서 누락되고 만다. 결국, 그 영예는 과거 정글 영화 출연 배우로 나른한 목소리만큼이나 뇌쇄적인 슬리브 사진들로 유명했던 줄리 런던에게 돌아간다. 또한 이 곡은 제인 맨스필드의 모습을 통해 영화 〈더 걸 캔트 헬프 잇〉(1956)에서 듣게 된다. 이 곡은 로큰롤을 기리는 영화 속에서 과거가 남긴 잔재로 등장하지만, 이런 것쯤은 몇백만 장 팔리는 데 장애가 되지 않았다. 결국 이 노래는 역대 가장 많은 커버 버전을 낳은 스탠더드 튠으로 자리 잡는다.
해밀튼의 재지 블루스 작품은 불씨가 꺼져가는 토치 송(torch song) 장르에 몇 가지 변화를 줘 다시 불을 붙인다. 이 장르에 속하는 대개의 곡들과 다르게, 이 노래에서는 상황에 굴하지 않고 맞서는 화자가 등장한다. 그녀는 자신을 버린 남자(사랑이 “너무 천하다”는 명목을 내세우는 남자라는 것을 고려해보면, 비열한 녀석임이 분명하다)가 다시 돌아와 굽실거리자 그에게 고스란히 보복한다. 이 곡에 활용한 간소한 기악 편성 또한 전대미문의 것이었다. 과거의 토치 싱어들이 피아노와 오케스트라의 보조를 받아 노래했던 반면, 이 곡에는 레이 레더우드의 업라이트 베이스와 편곡가 바니 케셀의 건조한 일렉트릭 기타만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선구적 사운드는 많은 이에게 영감이 되어주었고, 그중 1명인 브라질의 기타리스트 주앙 질베르토는 삼바를 미니멀리즘으로 해석한 스타일, 곧, 보사 노바를 발전시킨다.
<Lyrics/가사>
Now you say you're lonely / 이제 당신이 외롭다고 하네요
You cry the whole night through / 온 밤을 눈물로 지새웠다네요
Well, you can cry me a river, cry me a river / 그래요. 울어요. 실컷 울어요
I cried a river over you / 난 당신보다 더 많은 눈물을 흘렸다오
Now you say you're sorry / 이제 당신이 미안하다고 하네요
For bein' so untrue / 너무 진실하지 못했다면서요
Well, you can cry me a river, cry me a river / 그래요. 울어요. 실컷 울어요
I cried a river over you / 난 당신보다 더 많은 눈물을 흘렸다오
You drove me, nearly drove me out of my head / 난 거의 돌아버릴뻔 했다오
While you never shed a tear / 당신이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돌아설 때
Remember, I remember all that you said / 기억해요? 난 당신이 한 말을 다 기억하고 있다오
Told me love was too plebeian / 당신은 내게 사랑이 너무 진부하다고 했죠
Told me you were through with me / 내가 지겹다고도 했다오
Now you say you love me / 이제서야 날 사랑한다고요?
Well, just to prove you do / 글쎄요. 그럼 어디 한번 증명해봐요
Come on and cry me a river, cry me a river / 어서 울어요. 실컷 울어봐요
I cried a river over you / 난 당신보다 더 많은 눈물을 흘렸다오
I cried a river over you / 난 당신보다 더 많은 눈물을 흘렸다오
Before we go further, I would like to introduce a representative singer for this tune.
1926년에 태어난 줄리런던(Julie London)은 아름다운 외모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재즈 싱어이기도 하며 영화배우이기도 합니다.
아름다운 외모 때문에 가수보다는 배우로 먼저 많은 활동을 하였지만 배우로서의 그녀는
특별히 내 새울만한 작품이 없었습니다.
영화배우로서의 실패 그리고 이혼의 상처로 그녀의 삶은 비극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두 번째 남편인 재즈 싱어송라이터 '바비 트룹'을 만나면서 그녀의 음악적 재능은
빛을 내기 시작합니다.
결국 1955년에 발표한 'Cry me a river'가 크게 성공하며
대중적으로 가장 사랑받는 백인 여성 재즈 보컬로 입지를 굳히게 됩니다.
그녀의 목소리는 한마디로 표현할 수 없는 복잡하고 미묘한 아름다운 목소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두 개의 동영상에서 그녀의 매력적인 목소리를 느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영상은 1956년 영화 'The Girl Can't help it'의 한 장면입니다.
영화 안에서 그녀의 LP를 틀고 회상하는 모습입니다.
오래된 영상의 매력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Julie London version>
<Score>
Since I wasn't a member for this tune, I don't have practice video. So I upload performance video.
<Performance Video>
Time: 2017.9.17 2:53 PM
Location: 6450 Deer Lake Avenue, Burnaby
'Jazz > Ball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ve I told you lately (0) | 2018.07.02 |
---|---|
God bless the child (0) | 2017.11.20 |
Misty (0) | 2017.11.10 |
Saving all my love for you (1) | 2012.12.19 |